일제강점기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노동자들의 한이 서린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이 사도광산이 지난 2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외교부는 “전체 역사를 사도광산 현장에 반영하라는 세계유산위 결정을 일본이 성실히 이행하기 위한 선제적 조처를 할 것을 전제로 등재 결정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사도섬 내 설치한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전시실에는 조선인 노동자와 관련해 ‘강제’나 ‘강제노동’ 표현은 사용되지 않았다. 징용의 강제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물론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대한 평가도 없다.
가노 다케히로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는 조선인 강제동원, 강제노역 등의 용어는 한마디도 사용하지 않은 채 “모든 노동자의 가혹한 노동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전시물을 전시했다”고만 했다. 모든 노동자라는 말로 일본인보다 더 가혹한 차별에 고통받았던 조선인 고유의 강제동원 피해 역사를 지워버린 셈이다.
이는 명백한 ‘역사 물타기’다. 2015년 군함도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 “1940년대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을 했다”고 강제성을 인정했던 것보다도 크게 후퇴했다.
정부는 당연히 일본이 강제동원 역사를 부정하는 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는 있을 수 없다고 일침을 놓았어야 마땅하다. 외교부는 “표현을 갖고 협상력을 허비하기보다는 더 나은 이행 조치를 챙기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며 “또 하나의 결과물을 주머니에 챙긴 것”이라고 자평하였다. 역사의식과 책임감을 찾아볼 수 없다.
국가공무원노동조합은 총체적 난맥상을 드러낸 정부의 대일 외교를 규탄한다. 아울러 반성은커녕 군국주의 부활을 꿈꾸는 일본의 역사 왜곡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